“제조업에 어떤 식으로 인공지능(AI)을 도입하겠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한 ‘중소기업 리더스 포럼’에 참석한 한 철강 업체의 한 대표는 “정부는 AI를 강화하겠다고 하지만 현장 상황은 이전과 다를 바 없다”며 고개를 저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날 정책 강연에서 스마트 공장과 AI 도입을 통해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공언했다. 스마트 제조 혁신을 바탕으로 뿌리산업인 제조업을 첨단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최근 중기부가 내세우는 화두는 AI다. 정보기술(IT) 전문가인 장관의 강점을 살려 전통 제조 기업의 체질을 개선해 위기를 타파하겠다는 전략이다. 중기부는 AI 전환 초기 단계 기업에는 스마트 공장 도입을 지원하고 고도화 기업의 경우 맞춤형 지원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년 스마트 제조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2073억 원 증액한 4552억 원으로 배정했다.
하지만 현장은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다. 조립 공정과 같이 자동화·AI 전환이 어려운 분야가 제조업 전반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스마트 공장을 넘어선 제조 AI의 실현 가능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철강·조선·자동차 등 각 산업에 적합한 AI 전환 방식을 모색하는 것 또한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나 중소기업의 경우 개별 기업의 자체적인 노력만으로 AI 전환을 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AI 전환을 위해 정부 차원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지점이다. 한 자동차 부품 업체 관계자는 “예산만 늘린다고 해서 AI 전환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제조업의 AI 도입을 이야기하지만 실질적인 전환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한 지침이 없다”고 아쉬움을 전했다.
단순히 AI 도입만으로 제조업 혁신을 기대할 수는 없다. 정부의 청사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장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 전략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여전히 ‘AI는 남일’이라는 인식이 남아 있다. 중소기업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업종별·규모별로 세분화된 AI 전환 전략을 세워야 한다. 제조업 혁신의 성패는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혁신에 달려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