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을 피하기 위해 에어컨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이제는 냉방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밀폐된 실내와 외부 온도 차이를 5~7도로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또 공기청정기 등을 활용해 밀페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도 냉방병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냉방병은 에어컨 등 냉방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나타나는 한기, 두통, 피로감 등 여러 신체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다. 특정한 병명이 아니라 다양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환군을 통칭한다. 인체가 급격한 온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일종의 불균형 반응이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과도한 냉방과 환기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냉방병은 실내 냉방 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도 감염이다. 감기 바이러스는 주로 겨울철에 활발하지만 여름철에도 실내 온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바이러스가 활성화돼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 시에는 두통, 콧물, 목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장기간 냉방된 환경에 노출되면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오염된 에어컨 냉각수나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레지오넬라균 감염도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힌다. 레지오넬라증은 고열, 근육통, 기침 등을 유발한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위험할 수 있어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내과나 가정의학과에서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장시간 환기를 하지 않고 밀폐된 건물에 머무는 것도 문제가 된다. 실내 공기 중 화학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될 경우 눈의 따가움, 코막힘, 두통, 피로감 등이 발생하는 ‘밀폐 건물 증후군’이 나타난다. 창문이 열리지 않는 구조의 사무실이나 고층 빌딩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사용 시 실내외 온도 차를 5~7도 이내로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일정 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냉방기 필터와 냉각수는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점검해야 한다. 실내에서 얇은 겉옷을 착용해 체온 변화에 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사무실이나 대형 건물 내에서는 중앙 환기 시스템을 활용해 공기 흐름을 원활히 유지해야 한다.사무실 같은 경우는 정기적으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의료계 관계자는 “과도한 냉방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증상이 악화돼 폐렴이나 심한 근육통, 고열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일상 속 작은 관리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여름철 건강을 지키기 위해 생활 수칙을 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