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3500선 돌파 시도를 이어가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 4000포인트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천피’ 달성을 위해서는 글로벌 수요 확대와 기업 실적 개선에 더해 지배구조 개혁과 주주 환원 강화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29일 한국거래소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코리아캐피털마켓콘퍼런스(KCMC)’에서 믹소 다스 JP모건 한국 주식 전략 총괄은 “1년 내 4000 돌파는 무난하며,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5000을 넘어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증시 활황과 금리 인하, 한국 기업의 수출 호조를 근거로 제시하며 “반도체·인공지능(AI)·조선 등 주요 산업 호황과 밸류업 정책, 상법 개정, 자사주 매입 확대가 신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주주 이익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과 상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장은 아직 관망 중”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연구기관도 유사한 시각을 나타냈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코스피는 단순 반등이 아니라 확장 국면에 들어섰으며 확장 지속 확률은 사실상 100%”라고 분석했다. 그는 외국인·기관 순매수 전환, 코리아 디스카운트 축소에 더해 주가수익비율(PER) 개선과 업종 전반 상승, 글로벌 신뢰 회복이 맞물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도 4000 돌파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김동원 KB증권 센터장은 “현재 시장은 1985년 강세장과 유사하다”며 “달러 약세,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반도체 실적 호조가 기회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여당과 정부도 일관된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코스피5000특위 위원장인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투자 심리 변화는 냉소에서 호기심을 지나 기대 단계”라며 “상법 개정, 스튜어드십 코드 개선, 공시 강화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자본시장 혁신은 국정과제이자 경제 성장의 핵심 어젠다”라며 “공정시장 확립, 주주가치 중심 경영, 수요 기반 확충을 3대 축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도 “‘코리아 프리미엄’이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기업가치 제고, 주주 환원, 지배구조 개선을 지원하겠다”면서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운영을 강화하고, 24시간 거래 체계와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등 디지털 자산 플랫폼도 조속히 구축하겠다”고 했다.
다만 신뢰 회복 없이 코스피 5000 돌파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센터장은 “배당·환원 정책으로 4000은 가능하지만, 5000은 기업들이 이익잉여금을 줄여 자기자본이익률(ROE)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만은 배당성향이 50%, PER 15배지만 우리는 절반 수준인 만큼 배당성향을 두 배로 올리면 코스피 4000 달성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문성 율촌 변호사 역시 “코스피 5000의 열쇠는 지배구조”라며 “상법 개정, 감사위원 분리선임, 집중투표제 등 소수주주 권익 보호 장치가 국제 신뢰를 끌어올리는 출발점”이라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