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산업이 호황 국면에 진입했는데 소부장 업체들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통제가 이어지면서 우리 기업의 중국 시장 접근성이 제약됐기 때문입니다.”
최우혁 산업통상자원부 첨단산업정책관은 19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제13회 소부장 미래포럼’에 연사로 나와 이같이 밝혔다. 이날 최 정책관은 ‘반도체 소부장 현황 및 지원방안’을 주제로 정부의 반도체 소부장 산업 현황을 진단했다.
이날 최 정책관은 국내 소부장 업계가 정체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중국 수출 제약을 꼽았다. 산업부는 미·중 경제 갈등이 심화되며 부상한 공급망 리스크를 시급한 과제로 보고 있다. 최 정책관은 “중국과 국장급의 수출 통제 협의체를 가동하는 중”이라면서 “중국 측에 우리 업계의 애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전하며 해결 노력을 요청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최 정책관은 소부장 업계의 낮은 국산화도 숙원 과제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최 정책관은 “반도체와 장비의 국산화 비중은 10~20%”며 “소재는 30~40%인데 10년 전 통계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소부장 국산화를 위해 경기 용인시를 중심으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금융 지원을 늘리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소부장 업계들은 중국의 급속한 기술 부상을 주요 화두로 다뤘다. 업계는 중국의 기술이 곧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김진동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대표는 “최근에 6년 만에 중국 출장을 다녀왔는데 그 사이 중국 제조업계가 천지개벽했다”며 “반면 한국은 공장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도 늦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중국의 기술 발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문신학 산업부 제1차관은 “과거 중국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근시안적이었다"며 “지난 정부 3년 동안 중국을 도외시해서 중요한 3년이 흘러버렸다”고 지적했다. 문 차관은 “산업부 국·과장단과 중국 이슈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업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