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강원도 강릉 지역에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방식으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실증 적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는 15일 태양열 에너지와 막증류법을 결합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기술의 현장 실증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막증류법은 뜨거운 바닷물에서 생긴 수증기가 미세한 구멍이 뚫린 막을 통과해 차가운 담수통에서 응축되는 원리를 활용한 해수 담수화 방식이다. 기존에 널리 쓰이는 역삼투법이나 증발법보다 낮은 온도나 압력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고 탄소배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과기정통부의 지원으로 KIST가 개발한 이번 기술은 태양열을 활용해 에너지 소비는 30% 줄이고 담수 생산 효율은 9.6% 높였다. 태양열 에너지와 수열 히트펌프를 결합해 열에너지 소비 저감에 성공, 막증류 공정 에너지 소모 수준을 1㎾h/L에서 0.7㎾h/L로 30% 낮췄다.
다만 현재는 실험실 수준의 초기 단계로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증과 기술 고도화가 필요하다. KIST는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강릉원주대 해양과학교육원에서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해양과학교육원은 바다와 인접해 바닷물을 직접 끌어올릴 수 있어 장기간 실증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KIST는 담수화 설비를 9월 중 현지로 운반해 설치하고, 10월부터 11월 말까지 약 두달 간 본격적인 실증에 돌입한다. 또한 현장 실증을 통해 다양한 기반 자료를 확보하고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 과제 및 개선 방안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임무를 설정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가뭄뿐 아니라 기후·환경 현안 해결에도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혁신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