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정책을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추진하는 만큼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ESG 공시 의무화, 환경 책임 강화, 거버넌스 개편 등 전방위적인 정책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부담도 늘겠으나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10일 삼일PwC는 ‘이재명 정부 ESG 정책 방향’ 보고서를 통해 “새 정부는 ESG를 단순한 규제 수단이 아닌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축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ESG 정책 환경이 빠르게 재편되는 만큼 기업 경영 전략에서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먼저 환경 부문에선 저탄소 경제 전환과 친환경 산업 육성을 중심으로 정책이 설계되고 있다. 특히 한동안 중단됐던 ESG 공시 의무화도 조기 추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업은 재생에너지 전환과 저탄소 기술 도입에 따른 투자 부담이 커지겠으나 중장기적으로 녹색기술 기반의 신산업 확대 등 기회 요인도 있다는 평가다.
사회 부문에선 공정한 노동 환경 조성, 불평등 완화, 공급망 보호, 안전보건 강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제도적으로 강화하는 정책이 추진된다. 이에 공급망 관리 및 상생 지원 비용 증가,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부담 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 정부에서 가장 빠르게 달라지는 분야가 지배구조다. 정부 출범 한 달 만에 여야 합의로 상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전자 주주총회 의무화, 감사위원 선임 시 대주주 의결권 제한 등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투자자 신뢰와 기업 가치 확보 등으로 거버넌스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법률 자문·외부 감사 등 규제 대응 비용이 증가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스티븐 강 삼일PwC 지속가능성 플랫폼 리더는 “새 정부 출범으로 ESG 정책 방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이제 ESG는 단순한 공시나 규제 대응을 넘어 기업 전략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며 “기업은 정부 정책 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이를 기회로 삼아 ESG를 비즈니스 전반에 통합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