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차량의 가속·감속 움직임을 활용해 자동차 안에서도 비행기를 타는 듯한 ‘상하 움직임’을 느끼게 하는 가상현실(VR)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일반 차량 주행만으로도 하늘을 나는 듯한 체험이 가능해진다. 자율주행 시대의 엔터테인먼트·교육·관광 분야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콘텐츠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중력-관성 재지향(Gravitoinertial Retargeting)’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고안했다. 이 기술은 차량이 가속할 때 몸이 뒤로 젖혀지는 느낌, 감속할 때 앞으로 쏠리는 느낌을 VR 속 상승·하강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급가속하면 위로 떠오르는 것 같은 감각이, 급감속하면 아래로 떨어지는 감각이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이는 인간이 중력과 가속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인지심리학적 특성, 즉 조종사나 운전사가 경험하는 ‘중력 착각’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김승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량 내 VR이 수평 이동에만 머물렀던 한계를 넘어 실제 수직 이동 없이도 비행·상승·하강 등 다차원적 체험을 가능하게 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에는 엔터테인먼트, 교육·훈련, 테마파크형 체험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차량의 좌우 기울임까지 반영해 도로 위에서 완전한 비행 시뮬레이션에 가까운 VR 경험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가 지도하고 김보천 석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현실과 가상 간 체화를 위한 소프트 로보틱스 및 감각지능 기반의 Actuated XR 시스템 개발 연구' 및 GIST-MIT 피지컬AI 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GIST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간의 공동연구사업 ‘인간중심 물리 시스템 설계를 위한 HCI+AI 융합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10월 11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가상/증강현실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대회인 ‘IEEE ISMAR(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2025’에서 발표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ldmeta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