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해 부산으로 보금자리를 이전하는 해양수산부가 주말 셔틀 버스비로만 매년 10억 원을 쓰게 됐다. 부산으로 옮겨도 직원 대부분은 세종·서울 등 기존 거주지를 당장 바꾸기 어려운 탓이다. 새 정부의 성급한 조직 개편이 업무·예산 비효율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해수부는 부산 이전을 완료하는 연말부터 상행 9대, 하행 9대 등 세종과 부산을 오가는 왕복 통근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갑작스러운 부산 이전으로 주말부부가 되거나 자녀와 따로 살 수밖에 없는 직원들의 고충을 고려해 해수부 차원의 통근버스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내년 초까지 부산~세종 구간을 시범 운행한 뒤 탑승률 등을 고려해 노선·시간 등을 조정할 방침이다.
문제는 비용이다. 해수부가 올해 12월부터 내년 말까지 13개월간 주말 통근버스 운영 예산으로 편성한 금액은 10억 3200만 원에 달했다. 매달 8000만 원에 육박하는 세금이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버스비로 빠져나가는 셈이다. 이를 포함해 해수부가 내년 한 해 부산 이전 비용으로 편성한 예산은 322억 원에 이른다.
부산 이전에 따른 청구서는 향후 더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도 예산에 신청사 건립 비용은 빠졌기 때문이다.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신축 예산을 반영하려면 신청사 위치·면적 등이 나와야 하는데 아직 정확하게 나오지 않았다”며 “신청사 건립 예산은 향후 관련 절차를 밟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부산 이전의 효과가 훨씬 더 클 것이라는 입장이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지난달 KBS 일요진단에서 “한국 생존 전략의 측면에서 해수부 신속 이전은 비용 대비 이익이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