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0일 금융권이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한 석유화학 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 등을 골자로 한 자율협약을 체결한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3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석유화학 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 금융기관들이 자율협약식을 개최한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5대 시중은행장,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산업구조 혁신을 위한 채권금융기관자율협의회 운영협약’ 발표가 이뤄질 방침이다. 기업활력제고법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석유화학 기업에 대해서는 정상 기업으로 간주하고 금융 지원을 이어간다는 내용이 골자다.
통상 부실 기업이 만기를 연장할 경우에는 금리 인상 등 불이익이 뒤따르지만 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페널티 없이 대출을 연장하고 필요시 신규 자금도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일정 조건을 충족한 기업에 대해서는 이자비용 납부를 유예한다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는 석유화학 업계에 철저한 자구 노력과 대주주의 고통 분담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권 부위원장도 “사업 재편 계획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 채권 금융기관 공동 협약을 통해 지원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세부 지원 내용은 채권단의 협상을 거쳐야 확정된다. 개별 기업에 대한 구체적 지원 내용은 채권단 75% 이상(채권액 기준)의 동의를 얻어야만 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 석유화학 업계의 자구책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협약에는 모든 업종을 아우를 수 있는 원칙적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