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23일 한미 협상에서 새 변수로 부각된 통화스와프 체결 가능성과 관련해 ‘정치적인 영역’의 문제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통화스와프가 우리 외환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3500억 달러 대미투자 실행에 따른 외환시장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해선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이 공개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라 주목된다.
황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별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가능성을 묻는 말에 “개인적으로 통화스와프는 경제 영역이 아니라 고도의 정치적 영역으로 본다”면서도, 자신의 통화스와프 체결 경험을 들며 “상대가 있는 협상이기 때문에 전략을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황 위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국제금융국장과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을 지내고 세계은행(WB)그룹 상임이사를 역임한 국내 대표 국제금융 전문가다.
다만 그는 “통화스와프는 외환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하므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며 확대 필요성을 인정했다. 실제로 발동되지 않더라도 ‘심리적 안정’ 효과가 크다고 본 것이다. 최근 외환보유액 확충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서도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말했다. 다만 “확충 과정에서 시장에서 달러를 사거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을 발행해야 하는데 시장에서 달러를 사는 것은 직접적으로 환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외환당국이 변동성 완화를 위해 여러가지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환율 변동성이 있을 때 외환당국의 대응 능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