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정부가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직접 발행하거나 보증하는 채권의 규모가 132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재정위기 공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고가 나온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국민성장펀드 조성을 위해 15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첨단채는 정부가 100% 보증하는 보증채로 정부의 준부채로 볼 수 있다. 첨단채를 더한 정부의 내년도 보증채무 잔액은 39조 원으로 올해보다 22조 3000억 원 늘어난다.
여기에 확장재정을 선언한 정부의 국고채 발행 물량도 대기하고 있다. 특히 기재부는 내년에 올해보다 3조 원 늘어난 116조 원의 국채를 순발행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총지출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한 적자국채만 110조 원에 달한다. 정부 적자국채와 보증채를 합치면 그 규모가 132조 원을 웃돌게 된다.
문제는 우리 정부가 미국과 3500억 달러(약 488조 원) 규모의 투자 펀드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자금 중 10%라도 현금성 투자로 결정되면 정부는 단기간에 48조 원가량을 국채로 찍어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짧은 기간에 과도하게 채권 발행이 늘어나면 채권 미매각으로 인한 금리 급등, 기업 자금 경색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김정식 연세대 명예교수는 “글로벌 기준금리 인하에도 채권 공급이 자꾸 늘어 장기채권 금리를 밀어올리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정부 부채에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