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내년에 이재명 정부의 핵심 해양·해운 공약인 북극 항로 개척 사업에 5500억 원을 투입한다.
해수부는 2026년도 예산을 7조 3287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보다 8.1%(5471억 원) 늘어난 규모로 북극 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지원 등 신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해수부는 북극 항로 사업 관련 예산을 올해(4458억 원)보다 23.4% 증가한 5499억 원으로 편성했다. 쇄빙선 건조 지원 110억 원, 친환경 쇄빙 컨테이너선 기술 개발 37억 원, 극지해기사 양성 33억 원 등을 새로 추가하고 부산항·진해신항 등 메가포트 개발 사업 예산을 올해보다 6.3% 늘리는 식이다. 이에 따라 내년도 메가포트 개발 사업에는 총 4622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이날 예산안 관련 브리핑에서 “2029년까지 쇄빙선을 완성해 테스트 운항을 하고 2030년 1월에는 취항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북극 항로 시대를 대비해 ‘해양 수도 부산’을 구현하기 위한 해수부 부산 이전 예산은 322억 원이 배정됐다.
또 해수부는 K수산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보다 16.5% 증가한 9576억 원을 관련 사업 예산으로 편성했다. 생산 분야에서는 스마트 혁신 선도 지구 조성을 통한 양식업의 스마트 전환을 위해 285억 원을 새로 배정했다. 물김 생산자와 가공 업체 간 안정적인 원물 확보와 가격 안정을 위한 계약 생산에는 408억 원을 투입한다.
우리 바다에 대한 권리 행사 강화를 위한 중국 어선 등 불법 어업 대응 예산은 1122억 원으로 올해보다 14.4% 증액됐다. 특히 해수부는 내년에 70억 원을 투입해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무단 구조물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내년 예산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 수도권 조성 등 새 정부 국정운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편성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