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이 2045년까지 추진할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전략을 올해 중 확정한다. 우주청은 ‘우주 경제 영토와 인류 지식 확장’을 목표로 달 경제 기지 건설 등 우주 경제 생태계 연구에 돌입할 계획이다.
우주청은 17일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를 열고 2045년까지 추진할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비전과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로드맵은 ‘우주 경제 영토와 인류 지식 확장’을 청사진으로 태양계·우주의 기원과 진화 탐구, 과학발전 혁신, 달·화성 기지 건설, 우주자원 활용, 신산업 창출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우선 우주청은 우주 탐사의 영역을 지구와 달, 태양권, 심우주로 구분하고, 저궤도·미세중력 탐사, 달 탐사, 태양 및 우주과학 탐사, 행성계 탐사, 천체물리 탐사 등 5개 주요 프로그램에서 과학적 임무의 방향을 제안했다.
우선 우주청은 달 탐사분야에서 독자적인 달 도달 및 이동 기술을 개발하고, 달 자원 활용, 경제기지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달을 과학 연구 대상을 넘어 우주 경제 생태계의 기반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2040년에는 기존 달 착륙선을 활용해 물류 수송 등을 산업화 하는 새로운 달 착륙선을 개발하고, 2045년에는 달 경제기지를 건설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태양 및 우주 과학 분야에서는 태양권 관측 탐사선을 개발한다. 행성계 탐사에서는 심우주 탐사 전략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관측장비를 고도화해 천체 물리 탐사, 우주의학·우주농업 등 저궤도에서의 미래 신산업 실증 방안 등을 검토한다. 현재 과학계는 2035년에는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을 위한 탐사기기 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2040년까지는 소행선 탐사선도 개발할 계획이다.
우주청은 이번 로드맵을 올해 중 최종 확정하고 국가 우주 정책으로 지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해당 로드맵은 5년 주기로 정기 개정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