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6조 원 넘게 늘며 연중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금융 당국은 당분간 가계대출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6.27 대책을 우회하는 사례가 없는지 보다 더 면밀하게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6월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전달보다 6조 5000억 원 늘어났다고 9일 밝혔다. 5월 당시(5조 9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6000억 원 확대됐다. 올해 월간 가계대출 증가액이 6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다. 전 금융권의 주담대는 전월 대비 6조 2000억 원 늘었다. 전월(5조 6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6000억 원 확대된 것으로 지난해 9월(6조 8000억 원)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6월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 3000억 원 늘며 전달(4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주춤했던 것과 대비된다.
은행권에서 가계대출과 주담대가 특히 크게 늘어난 모습이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 2000억 원 불어났다. 5월 당시 나타냈던 월간 증가폭(5조 2000억 원)을 1조 원 웃도는 액수다. 은행이 자체적으로 취급하는 주담대 증가액이 전월(2조 5000억 원)보다 1조 3000억 원 확대된 3조 8000억 원을 나타낸 영향이 컸다. 기타대출 증가액은 전달과 동일한 1조 1000억 원이었다.
제2금융권에서는 오히려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됐다. 지난 6월 사이 3000억 원 늘어 5월 증가액(7000억 원)보다 증가세가 위축됐다.
금융위는 당분간 가계대출이 계속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시장 강세로 주택 거래량과 대출 승인액이 꾸준히 확대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량은 지난해 12월 4만 6000만 호에서 지난 5월 6만 3000만 호로 늘어났다.
금융 당국에서는 6.27 대책에 가계대출 관리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이번 대책으로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신청 추이가 다소 둔화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성패는 풍선 효과와 우회 수단을 차단하며 정책을 지속 추진하는 데에 달렸다”고 했다.
이에 금융 당국은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에 대한 6개월 내 전입 의무를 앞으로 집중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대출을 전액 회수할 계획이다. 또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대출이나 대부업처럼 6.27 대책의 적용을 받지 않는 부문에서 풍선효과가 나타나지는 않는지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