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산업(003240)은 화장품·에너지·부동산개발 관련 기업 인수 및 설립을 위해 조 단위의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주력 산업인 석유화학과 섬유 업황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한 사업구조의 재편 없이는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태광산업의 인식이다.
구체적으로 태광산업은 올해와 내년에 1조 5000억 원가량을 투입하는 투자 로드맵을 설정했다. 투자 계획이 예정대로 실행되면 올해 연말까지만 1조 원가량을 집행하게 된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내년까지 집행할 투자 규모는 현재 보유 중인 투자가용자금을 크게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올인’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광산업은 신규 진입을 모색하는 화장품·에너지·부동산개발 관련 기업의 인수에 자금의 상당 부분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투자 자회사를 설립해 뷰티 관련 기업 등에 대한 투자를 추진하는 한편 관심 업종의 신규 법인 설립도 진행하고 있다.
태광산업은 현재 유보금으로는 투자자금을 충당할 수 없어 외부 자금 조달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5월 말 기준 태광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금은 1조 9000억 원에 달하지만 실제 신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은 1조 원 미만으로 추산된다.
우선 기존 석유화학 및 섬유 부문에만 5000억 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 또 업황 악화에 대비해 3.5개월치 예비운영자금 5600억 원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여기에 석유화학 2공장과 저융점섬유(LMF) 공장이 가동을 중단해 시설 철거와 인력 재배치에도 상당한 자금이 소요될 예정이다. 태광산업은 다음 달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3186억 원도 사업구조 재편에 투입한다.
석유화학 불황 장기화로 태광산업의 실적 악화도 지속되고 있다. 매출은 2022년 2조 6066억 원에서 지난해 2조 1218억 원으로 줄었고 3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해 자사주를 소각하고 이를 통해 주식가치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적극적인 투자와 사업재편을 통해 생존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교환사채 발행을 통한 투자자금 확보는 회사의 존립과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태광산업은 신규사업 진출을 위해 이달 31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을 개정, 사업 목적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에 추가되는 사업 목적에는 △화장품 제조·매매 △에너지 관련 사업 △부동산 개발 △호텔·리조트 등 숙박시설 개발·운영 △리츠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등에 대한 투자 △블록체인 기반 금융 연관 산업 등이 포함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