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일 미국의 고강도 관세 부과 조치가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에 미칠 영향에 대해 “현재 조사국이 들여다 보고 있다"면서 “시간을 갖고 지켜봐 달라”라면서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이날 열린 한은-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콘퍼런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AI(인공지능)는 아니지 않나. 25% 관세를 부과할때 어떤 영향이 있는지 더 따져봐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또 “내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를 보고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면서 “우리 조사국에서 지금 관세 효과를 스터디하고 있는데 그 분석과 내일 결과를 합해서 성장률 등을 다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새벽에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시행이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자, 한은 내부에서도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1.5%)보다 0.1%포인트 하락하는 ‘비관적 시나리오’에 가까워졌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와 2월 경제전망에서 관세전쟁이 심해지는 비관적 시나리오를 가정했다. 여기에는 미국이 올해 말까지 중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적자국에 관세를 높여 부과한 뒤 2026년까지 유지하고,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고강도 보복관세로 대응하는 상황이 담겼다.
일각에서는 오는 4월 16~17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를 적용한 올해의 성장 전망 수정치를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은 조사국 관계자는 “상호관세 내용이 기본 시나리오보다 악화하고, 비관 시나리오에 가까운 것은 맞다”면서도 “공식 경제전망(5월, 11월)외 다른 시기에 이를(성장률 조정 여부) 발표할지는 아직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