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 연구개발(R&D) 우수성과로 선정된 100개 과제의 기술사업화 수준이 43%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R&D 과제의 기술사업화 수준이 평균 2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2배 높다. 정부는 이같은 우수한 R&D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고 상용화를 촉진한다는 복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2024년 국가연구개발(R&D)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시상식을 개최했다. 우수성과 100선은 학계, 연구계, 산업계에서 달성한 성과 가운데 869건이 추천됐고 100개가 엄선됐다. 6개 기술분과별로 각 2건씩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해 최우수 성과는 별도로 선정했다. 특히 이번 100선 선정에는 기술사업화 수준도 처음 점검해 상용화 방안을 구체화시켰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해 “어려운 환경에서도 도전으로 이뤄낸 소중한 연구성과가 사업화를 이뤄낼 수 있도록 범정부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성과 100선의 기술사업화 수준은 43%로 분석됐다. 평균적으로 기술사업화가 20%대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우수 R&D는 사업화와 상용화에서도 앞서 나가고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 선정된 100선을 주체별로 나눠보면 대학이 46건으로 가장 많았고, 정부 출연연구기관 31건, 기업 18건, 국공립연구소·정부부처가 5건이었다. 기술이전과 사업화에 성과를 낸 곳은 출연연이 17건, 그 뒤를 기업(15건), 대학(8건), 국공립연구소 및 정부부처(3건) 등이 이었다.
분야별로는 기계·소재분야에서 ‘포토리소그래피 및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융합 메타렌즈’개발이 선정됐다. 급속히 성장하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과제인 메타렌즈 제작비용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종이접기 하듯이 하나의 구조체를 다양한 모양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DNA나노기술 개발 성과는 종이접기의 원리를 분자 크기 수준에서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분자 센서·나노로봇 개발 등에 활용이 기대된다.
정보·전자분야는 1마이크론 수준의 미세 주름의 움직임으로도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를 도울 수 있는 저전력, 고효율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이 선정됐다. 웨어러블 기술과 생체 신호 인식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에너지·환경분야는 반도체 제조용 초순수를 국산화하는 기술이 선정됐다. 또 이차전지 소재시장의 ‘게임체인저’로 꼽히는 이차전지 음극 원천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소재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앞서 수년 간 선정된 우수R&D 100선 가운데 후속 연구와 상용화를 통해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누릴 수 있는 수준의 연구들도 상당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음성인식 기술(2008년)은 국내산 자동차에 적용돼 2010년대 중반 이후 콜센터 응대와 인공지능 스피커 등에 적용되고 있다. 전동형 착용 로봇 개발(2022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 및 발사(2023년) 등도 대표적인 우수 R&D 사례다. 이상윤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2006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개발로 지난해 4월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최고 시속 320㎞의 청룡 고속열차가 만들어졌다”고 성과를 설명했다.
★서울경제신문-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공동기획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