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유료방송 3강 재편...추가 M&A 활발해질듯

방통위, SKB·티브로드 합병 인가

KT도 딜라이브 인수 재추진 전망

점유율 4%대로 홀로서기 벅찬

CMB·현대HCN은 매물 가능성





방송통신위원회가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합병에 동의하면서 국내 유료방송 시장이 인터넷(IP)TV 중심의 3강 체제로 사실상 재편했다. 덩치를 키운 국내 사업자와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딜라이브와 CMB 등 다른 케이블방송에 대한 추가 인수합병(M&A)과 제휴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일 전체 회의를 열고 SK텔레콤(017670)의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 합병에 대한 사전동의를 의결했다. 방통위는 통신 대기업이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를 합병할 경우 시청자 권익 침해나 공공성과 지역성이 약화할 수 있다고 보고 14개 조건과 3가지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미디어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지역 인력을 고용하는 등 공적책임을 확보하도록 했다. 아울러 SO 가입자를 부당하게 IPTV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가입자 전환율을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이밖에 농어촌지역 서비스 가능지역(커버리지) 확대와 구체적인 콘텐츠 투자 계획 등이 조건으로 달렸다. 대체로 합병 자체에 큰 제약을 주지 않는 시장 친화적인 사항으로 평가된다. 허욱 방통위 상임위원은 “통상 사전동의에 영업일 기준 28일이 걸리지만 15일로 단축해 사업자들의 경영 불확실성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병 인가 주관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다. 과기정통부는 공정거래위원회와 방통위의 인가 조건을 고려해 최종 합병 인가안을 빠른 시일 내에 발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말 이번 합병에 대한 인가조건을 이미 제시한 만큼 이날 방통위 사전동의를 끝으로 정부 인가 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SK텔레콤이 2016년 CJ헬로 M&A 실패 후 3년 만에 유료방송 기반 확대에 성공하면서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KT·KT스카이라이프(점유율 31.31%)와 LG유플러스·LG헬로비전(24.72%), SK텔레콤(24.03%)의 3강 체제가 확립됐다. 3강 구도는 시장 재편의 완성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 SK텔레콤이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덩치 싸움이 더 격렬해질 가능성 때문이다.

우선 확고부동한 1위를 유지했던 KT의 반격이 예상된다. 이미 케이블 방송 3위 딜라이브(6.09%)를 추진했던 KT는 국회의 유료방송 합산규제 해소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유료방송 점유율을 33.3% 이내로 제한하는 합산규제는 지난해 6월 일몰해 생명을 다한 지 벌써 1년 반이 지났지만, 유령처럼 사업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KT로서는 규제 이슈가 해소되는 대로 딜라이브 인수를 다시 추진함으로써 1강 2중 체제 복원을 꾀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도 언제든 추가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다. KT의 인수 작업이 지지부진한 딜라이브도 언제든 검토대상이 될 수 있는데다 케이블 방송 점유율 4~5위를 달리는 CMB(4.73%)와 현대HCN(4.07%), 나머지 5.05%의 점유율을 나눠 가진 개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9개사 역시 잠재 후보군이다. 특히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게 된 유료방송 3강이 모바일과 결합상품 등으로 지배력을 강화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보다 저렴한 가격에 수급·생산한다면 기타 회사들의 경쟁력은 나날이 감소한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IPTV 3사간 점유율 확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다른 SO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자 간 동맹이 확대될 여지도 높다. 넷플릭스보다 강한 콘텐츠 파워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 디즈니는 국내에 단독 OTT로 나올 수도 있지만, KT나 SK텔레콤 같은 IPTV의 파트너로 진출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SK텔레콤이 지상파3사가 뭉친 ‘웨이브’를 출범시키고 JTBC와 CJ ENM가 OTT 통합을 추진하거나 넷플릭스가 JTBC, CJ ENM과 각각 장기 파트너십을 맺었듯 사업자 간 세력을 넓히려는 다양한 합종연횡도 기대된다.

유료방송의 과점체제는 송출수수료 인상에 따른 홈쇼핑 업계 수익 악화나 지역 중심 콘텐츠 약화, 소비자 선택권 제약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산업의 효율성을 꾀하면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견고하게 만들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천=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