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간 약 4조 원을 투입해 이른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서울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거점국립대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산학연 협력 기반 특성화연구대학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0일 지방 거점국립대 총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가균형 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을 공개했다. 교육부 발표안에 따르면 9개 거점국립대는 △인공지능(AI) 기초 역량 교육 △글로벌 교육 △기업 현장 밀착형 교육 등을 바탕으로 교육체계 혁신에 나선다. 정부는 ‘학부·대학원·연구소’를 하나로 묶어 지원하는 한편 기업·출연연구기관·과학기술원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인재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공개한 사안을 바탕으로 연내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을 수립해 발표할 예정이다. 최 장관은 “거점국립대가 지역 성장의 중심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현 정부 들어 첫 회의를 개최하고 ‘수도권 일극 체제 개편’을 목표로 한 ‘5극 3특 균형 성장 전략’을 의결했다. 위원회는 이를 통해 초광역권 60분 교통 체계 구축 및 권역별 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 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