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9일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해 내년 6월 30일까지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한 가운데 중국 관영매체가 한국 정부에 관광객 안전 보장을 촉구했다. 일부 한국 내 반중(反中) 시위가 양국 관계를 훼손한다며 규제를 요구한 것이다.
관영 환구시보는 30일(현지시간) 사설과 논평에서 한국의 이번 조치가 단순한 경제정책을 넘어 양국 관계 회복의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매체는 “한국 정부의 무비자 정책은 중국 국경절 황금연휴와 맞물려 한국 경제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고 양국 관계 안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조치는 지난해 11월 중국이 한국 국민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것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며 “주요 선진국 중 처음으로 시행한 상징적인 시범 사례라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인적 교류 확대는 양국 국민의 상호 이해와 정치적 신뢰 증진에 대체 불가능한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환구시보는 한국 관광업계가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 비중은 28.6%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10월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은 39만 2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달 대비 69% 수준에 그쳤지만 지난 7월에는 60만 2000명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매체는 “이번 조치로 10월 황금연휴 기간 중국인 관광객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환구시보는 한국 내 반중 정서를 문제 삼았다. 매체는 “일부 극우 단체가 명동 등에서 잦은 반중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특정 정치인이 반중 음모론을 선동하고 있다”며 “이는 중한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줬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이러한 행위를 막고 중국 관광객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하길 기대한다”고 요구했다.
또 “비자 편리화는 단지 첫걸음일 뿐이며 향후 어떻게 제도를 일상화할지가 관건”이라며 “한국은 관광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갈등 문제를 적절히 관리하며 신뢰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구시보는 마지막으로 “청산이 가로막아도 강물은 끝내 동쪽으로 흐른다”는 시를 인용하며 “양국 교류의 문이 넓어지는 가운데 일부 반중 흐름은 역사적 대세에 의해 결국 도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무비자 조치는 한국 새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서 내디딘 중요한 발걸음이며 앞으로 더 커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