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이 결혼 예식 서비스 비용을 조사했더니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이 6만원으로 올랐다. 예식장 식대는 결혼 서비스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그만큼 예식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14개 지역 결혼서비스 업체 504개사를 대상으로 지난달 18∼29일 결혼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체 결혼 서비스 평균 비용은 지난 달 2160만원으로 두 달 전보다 4.1%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달 결혼비용을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4.3% 증가했으나 비수도권은 1.9% 감소했다. 수도권의 결혼비용은 2665만원으로 비수도권(1511만원)보다 1154만원이나 더 비쌌다. 지역별로는 강남이 3509만원으로 경상도(1181만원)의 세 배에 육박했다.
특히 결혼 서비스 비용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은 지난 달 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5만8000원보다 2000원(3.4%) 오른 것이다. 지역별로는 강남지역이 8만3000원에서 8만8000원으로 5000원(6.0%) 높아져 14개 지역 중에서 가장 비싸고, 6월 대비 상승률도 가장 높았다
전국 대관료 중간 가격은 6월 300만원에서 지난 달 350만원으로 50만원(16.7%) 올랐다. 강남지역 대관료가 690만원에서 750만원으로 60만원(8.7%) 상승했고 경상지역도 130만원에서 270만원으로 두 배가 됐다.
결혼식장 측은 식재료와 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이 결혼식장비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생화 꽃장식'은 지난 6월 200만원에서 지난 달 262만원으로 31.0%(62만원) 올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