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소된 96개 전산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데 약 4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29일 밝혔다. 96개 시스템 중에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 국가보훈부의 ‘통합보훈’,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안부의 ‘안전디딤돌’ 등 1등급 서비스가 4개 포함됐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나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게 목표”라며 “구축 계획이 수립되면 복구 완료 시점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관리하다가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별도 인프라 구축 없이도 중단된 시스템 서비스를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화재 피해를 본 국정자원의 전산실은 화재 영향이 적은 곳부터 항온 항습기 등의 복구 절차를 거쳐 시스템 재가동에 나서고 있다. 김 차관은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가동을 계획 중”이라며 “서버 등 정보 시스템은 정전기, 물에 취약하므로 전문 업체가 작업하며 이 작업은 1~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장애 복구에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해 9월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했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서류를 발급받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도 당분간 면제하기로 했다.
정부는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일각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에 관해서도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 작업에 투입됐다’는 소문에 관해 김 차관은 “사실과 다르다”며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고 이때 작업자는 전문 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라고 설명했다.
5층 전산실에서 관리하던 시스템 수가 70개에서 96개로 정정되고 이 목록도 전산 마비 나흘째에야 공개된 것도 화재로 관련 시스템 열람이 어려워서였다고 설명했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보혁신실장은 “국정자원의 업무 관리 시스템이 불행하게도 5층 전산실에 있어서 당장 확인이 불가능해, 직원들이 가진 엑셀 자료 등을 토대로 확인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검사에서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교체하라는 권고를 받았음에도 이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지난해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1~2년은 더 쓸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당연히 권장 기한을 지켜야 했는데 일상적인 권고로 간주하고 주의 깊게 살펴보지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