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비행기 4대로 옮겼다…세잔·르누아르 명작 韓 상륙

오랑주리·오르세 미술관 소장품

내년 한불 수교 140주년 기념

예술의전당서 다양한 회화 선봬

전시는 두 거장이 세상을 바라보고 표현한 방식의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유사한 주제를 다룬 두 화가의 그림을 나란히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눈길을 끈다. 전시 도입부에서 관람객은 두 화가가 가족을 그린 작품 '광대 옷을 입은 클로드 르누아르(왼쪽)'와 '세잔 부인의 초상'이 나란히 걸린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제공=예술의전당




폴 세잔(1839~1906)은 자연을 기하학적 형태로 단순화해 대상의 본질을 드러내려했던 화가다. 그는 “자연을 원통, 구, 원뿔로 처리하라”고 말했고 인상파의 순간적 빛보다 변하지 않는 질서를 추구하며 20세기 현대미술의 토대를 쌓았다. 반면 오귀스트 르누아르(1841~1919)는 “내게 그림이란 소중하고 예쁜 것”이라며 인상파적 색채와 고전적 관능미에 매혹됐다.

이런 두 사람의 2인전이라니 왠지 낯선 조합이다. 서로 다른 길을 걸었음에도 두 거장에게는 ‘새로운 회화의 가능성’을 추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예술사는 이미 그들을 ‘인상파 이후’ 새 방향을 제시한 선구자로 주목해왔다. 120년 전인 1904년 파리 살롱 도톤전에서 두 사람의 작품을 연계해 전시했고 세잔과 르누아르를 동시 수집한 화상과 컬렉터도 적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19세기 말 프랑스 미술의 전환점을 이끈 두 거장의 작품이 한국을 찾는다. 내년 한국·프랑스 수교 140주년을 기념해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20일 개막한 ‘오랑주리-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세잔, 르누아르’를 통해서다. 이 전시는 프랑스의 대표적 국립 미술관인 오랑주리와 오르세가 보유한 세잔과 르누아르의 작품 등 유화 51점과 당대 시대상을 반영하는 빈티지 사진 및 영상 등 70여 점을 선보이는 자리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열리는 '오랑주리-오르세미술관 특별전 :세잔, 르누아르'의 전시 전경. 사진 제공=예술의전당




2016년 ‘오르세 미술관 전’ 이후 10여 년 만에 프랑스 국립 미술관의 명작들을 만나는 자리이자 파리 오랑주리 미술관의 국내 첫 소장품 전시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세실 지라르도 오랑주리 미술관 큐레이터는 “두 작가의 작품 중 익히 알려진 명작들로 엄선해 소장품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39점을 선보인다”며 “작품을 운반하는 데만 비행기 4대가 동원됐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총 여섯 개의 섹션으로 구성됐다. 1~3섹션은 세잔과 르누아르가 함께 탐구했던 회화적 관심사, 풍경·정물·인물을 중심으로 두 화가의 작품을 나란히 들여다볼 수 있도록 연출됐다. 예컨대 첫 번째 섹션은 두 화가가 자연을 담기 위해 야외로 나가 작업한 작품들을 모았다. 르누아르는 따뜻한 색채와 부드러운 붓질로 빛과 공기의 떨림을 담았고, 세잔은 색면과 견고한 터치로 풍경의 질서와 구조를 드러냈다. 정물을 그릴 때도 르누아르는 색채의 조화로 일상적 아름다움을 드러내는데 집중했다면 세잔은 색, 형태, 공간의 원리를 탐구하는 진중한 구조주의자의 면모가 도드라진다.

전시에는 당대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빈티지 사진도 다수 공개됐다. 르누아르의 ‘바다 풍경, 건지 섬’과 나란히 흑백 사진이 전시돼 돼있다. 김경미 기자


르누아르, ‘피아노 치는 소녀’. 사진 제공=예술의전당


4~6섹션은 두 화가의 교류와 이들이 당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자리다. ‘최초의 프랑스 현대미술관’을 꿈꾼 수집가이자 이번 전시의 토대가 된 폴 기욤의 수집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네 번째 섹션과 두 거장의 교류와 서로에 대한 영향을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섯 번째 섹션을 지나면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과 세잔, 르누아르의 작품이 나란히 걸린 마지막 공간에 도착한다. 피카소는 세잔을 “우리 모두의 아버지”라 불렀고 르누아르의 작품도 4점 이상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세잔의 구조주의적 회화는 피카소의 입체주의 등장을 견인했고 르누아르의 선과 색채에 대한 표현은 피카소가 고전주의로 회귀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전시는 두 거장과 피카소의 작품을 나란히 걸어 관람객들이 세잔과 르누아르에서 시작한 20세기 현대미술의 흐름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도록 했다. 내년 1월 25일까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