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7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정부 전산시스템의 수를 96개로 정정 발표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8시 윤호중 장관 주재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 보도자료에서 “최초 보도자료에서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모두 70개로 알려진 시스템 개수는 화재로 인한 인력 투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파악한 것으로 착오가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행안부는 직접 피해를 입은 7-1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에 대해서는 “물리적 손상으로 이전 복구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윤 장관은 회의 모두 발언에서 “전소된 환경에서 복구보다 이전 재설치가 복구에 유리하다고 판단했다”며 “대구 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검토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중으로 항온항습기를 복구하고,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한다. 이후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킨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재가동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복구는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시스템의 재가동부터 진행한다. 행안부 측은 “재가동은 국민안전, 국민 재산과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하고,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제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