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 여파로 은행권과 핀테크 업계의 모바일 신분 확인 서비스가 줄줄이 멈췄다. 금융위원회는 긴급 비상대응반을 꾸려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있지만 사태가 평일까지 이어질 경우 금융권 혼란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6일 오후 8시 15분 대전 국정자원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전면 마비되면서 27일 오전 은행 앱 곳곳에는 “행정안전부 시스템 점검으로 일부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다”는 공지가 일제히 게재됐다. 정상화 시점 역시 “행안부 점검 완료 시”로만 안내돼 소비자 불편이 이어졌다.
특히 피해는 본인확인 서비스에 집중 발생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모바일 신분증,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전자문서지갑 등 핵심 인증 수단이 일시 중단됐다. 이에 따라 비대면 계좌 개설, 인증서 발급 등 모바일 금융 서비스 상당수가 제동이 걸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 다른 신분증으로는 인증이 가능하지만 모바일 기반 인증에 의존하던 고객들은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위는 이날 새벽부터 정부 매뉴얼에 따라 ‘금융 비상대응반’을 가동하고 업권별 영향을 긴급 점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소비자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업권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대응 방향은 오후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도 전산담당 부서를 중심으로 긴급 점검에 나섰다. 금감원은 자체 서버를 운영해 직접 피해는 크지 않지만 정부 민원센터와 연계된 일부 창구에서는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문제는 이번 여파가 단순히 은행권을 넘어 금융정보분석원(FIU) 시스템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27일 오전 기준 FIU 홈페이지 접속이 전면 불가능한 상태로 자금세탁방지 업무 차질도 불가피해졌다. 이번 장애는 주말에 발생해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소비자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태가 평일까지 이어지면 계좌 개설, 대출 신청, 각종 인증 업무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