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명과 암이 공존하는 인공지능(AI)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세우는 것”이라고 제시했다. 특히 각국 정부와 산업계,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 ‘AI기본사회’가 ‘뉴노멀’이 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해 “AI시대에 변화한 안보 환경을 분석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AI와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린 공개토의에서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AI를 잘 활용하면 저성장, 고물가 같은 난제를 해결해 새로운 번영의 길을 열 수 있지만 변화에 대비하지 못하고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AI가 인류를 위협하고 멸종시킨다면 그 이유는 우리가 거대한 변화에 걸맞은 인류 공통의 규범을 만들어 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AI 기술력이 곧 국력이자 경제력이자 안보 역량인 시대에 과거 ‘러다이트 운동’처럼 기술 발전을 역행시키는 일은 가능하지도 않고 현실적이지도 않다”며 “유일하고도 현명한 대처는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안보리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막중해졌다”고 강조했다. “AI가 무궁무진한 잠재력과 가능성, 동시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한 이 대통령은 “AI를 잘만 활용하면 대량살상무기(WMD) 확산을 감시하는 등 분쟁을 예방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 무시무시한 도구가 통제력을 상실하면 허위 정보가 넘쳐나고 테러,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디스토피아의 미래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발 군비 경쟁’으로 안보 불안은 더 커질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AI가 불러올 문명사적 대전환 앞에서 인류는 오랜 역사 동안 지켜온 보편 가치를 지켜내야 할 중요한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위기 속에서도 언제나 세계평화와 공동번영의 길을 찾아온 유엔의 빛나는 역사에 답이 있다”며 “우리 앞에 주어진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마다하지 말고 AI가 가져올 변화를 인류가 재도약할 발판으로 만들어 내자”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