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에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의 비전이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에 민주 대한민국이 앞서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190여개 국가 중 7번째로 연설에 나선 이 대통령은 “유엔의 지원과 도움에 힘 입어 성장한 대한민국은 이제 민주주의 회복의 경험과 역사를 아낌없이 나누는 선도 국가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다”며 “유엔이 표방하는 자유와 인권, 포용과 연대의 가치를 굳건히 수호하는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피력했다.
특히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을 흔들림 없이 수호한 우리의 용사들이 유엔이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평화’의 길을 돕고 있다”며 유엔의 평화 활동에서 한국이 핵심적인 기여국으로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그중 AI 시대 전환에 따른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 기술이 안보 역량을 결정하고 사이버 공격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시대, 우리는 ‘보이는 적’을 넘어 ‘보이지 않는 적’과 맞서야 한다”며 “AI 시대의 변화에 수동적으로 끌려 다닌다면 기술 악용으로 인한 인권 침해의 어두운 그림자를 떨쳐내지 못한 채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라는 디스토피아를 맞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면 높은 생산력을 동력 삼아 혁신과 번영의 토대를 세우고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유용한 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으로서 주재하는 공개토의 자리가 AI의 책임 있는 이용을 촉진하는 국제사회 노력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다음 달 대한민국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한 AI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첨단 기술 발전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기여하는 ‘모두를 위한 AI’의 비전이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유엔의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과학기술과 디지털 혁신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면서 ‘에너지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 안으로 책임감 있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2028년 칠레와 공동 개최하는 ‘제4차 유엔 해양총회’에서도 지속 가능한 해양 발전을 위한 실질적 연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