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자리, 자산 형성 등 종합적인 청년 지원 정책 추진 방향을 공개했다. 월 50만 원을 3년간 저축하면 6~12%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청년미래적금’ 등이 포함됐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민주권정부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했다. 새로운 청년 정책은 ‘모두의 청년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저소득 및 취약 계층뿐 아니라 ‘일반 청년’도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펴겠다는 의미다.
일례로 청년층의 초기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미래적금’이 내년 6월 출시된다.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와 비교해 납입 기간이 5년에서 3년으로 줄고 정부기여금은 3~6%에서 6~12%로 늘려 보다 빠르게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다. 매월 최대 50만 원까지 3년을 납부하면 정부기여금 108만 원(6%,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및 중위소득 200% 이하)~216만 원(12%, 중소기업 신규 취직 청년)이 지원된다.
정부는 ‘괜찮은 일터 확산’을 중점 과제로 삼아 향후 채용 플랫폼을 통해 노동법 준수 관련 기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보호를 위한 ‘일터권리보장 기본법’ 제정도 추진한다.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 생애 1회 구직 급여 지급, 인공지능(AI) 중심 맞춤형·실무형 역량개발 지원, 폐업 경험 청년 재도전 지원 전용 트랙 신설, 전체 장병 대상 AI 온라인 교육 확대 등을 통해 청년의 노동 환경을 보호하고 취업 시장 재진입도 지원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