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동북아 물류 허브이자 글로벌 해양전략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부산진해경자청은 16일 본청 대회의실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BJFEZ) 글로벌 물류혁신 TF’ 첫 회의를 열고 향후 전략 논의에 착수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가 추진 중인 해양·물류 국정과제와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정부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북극항로 개척, 항만·항공·철도 연계 ‘트라이포트’ 완성, 해운기업 본사 이전, 복합물류 인프라 구축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부산진해경자청은 이에 대응해 친환경·첨단 물류 고도화와 디지털 인프라 확충, 고부가가치 복합물류 허브 조성 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TF는 산·학·연·관 협력체계로 LX판토스·현대글로비스·동방물류센터·부산신항만주식회사·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 등 주요 물류기업과 부산연구원·경남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역 대학 교수진 등 11명이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장하용 부산연구원 실장이 ‘북극항로 시대와 글로벌 물류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항만과 신공항 연계, 첨단·복합물류 허브 구축 방안 등에 대한 심층 논의가 이어졌다.
부산진해경자청은 TF를 단순 자문기구가 아니라 정책 실행 플랫폼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해수부 부산 이전 효과 극대화, 트라이포트 기반 복합물류체계 구축, 친환경·스마트 물류 생태계 조성 등 구체적 과제를 발굴하고 성과로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박성호 청장은 “글로벌 물류혁신 TF는 지역 물류산업 혁신을 견인하고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전략 플랫폼”이라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글로벌 해양물류 거점으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