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농업 부문의 신규 고용 연간 수정치가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다는 소식에도 금리 인하 기대가 더 강하게 확산하면서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9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6.64포인트(0.43%) 상승한 4만 5711.59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49포인트(0.27%) 오른 6512.64, 나스닥종합지수는 80.79포인트(0.37%) 뛴 2만 1879.49에 거래를 마쳤다. 세 지수 모두 역대 최고가를 다시 썼다.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가운데서는 엔비디아가 1.65 오른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0.04%), 아마존(1.02%), 메타(1.78%), 구글 모회사 알파벳(2.39%), 테슬라(0.16%), 넷플릭스(1.49%) 등이 올랐다. 반면 애플(-1.48%), 브로드컴(2.60%) 등은 내렸다.
미국 노동부는 이날 지난해 2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12개월간의 고용·임금조사(QCEW)를 반영한 비농업 고용 연례 벤치마크 수정 예비치를 발표하면서 비농업 부문 고용 건수를 기존 발표치보다 91만 1000명 하향 조정했다. 이는 이 기간 미국의 일자리 증가 폭이 종전에 발표된 수치보다 매달 약 7만 6000명 더 적었다는 뜻이다. 이 기간 월간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14만 7000명에서 7만 1000명으로 하향 조정됐다. CNBC는 이번 하향 조정폭이 지난 2002년 이후 가장 컸다고 보도했다. 이 고용통계 수정 발표는 매년 정기적으로 이뤄지며 기존 통계 발표 이후 추가된 광범위한 분기별 주(州) 정부 납세 자료를 반영해 작성된다. 업종별로는 여가·음식숙박(17만 6000명), 전문기업서비스(15만 8000명) 부문의 하향 조종 폭이 컸다. 이날 통계는 잠정치로 최종 확정치는 내년 2월 발표된다.
다만 이는 관세 정책 전 과거의 데이터라는 점에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작았다. 앞서 지난달 골드만삭스는 올해 1분기까지 고용 증가폭이 55만~95만 명 하향 조정될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월가의 평균 예상치는 68만 명 감소였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고용 하향 조정에 대해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은 이달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1.8%로, 50bp 확률은 8.2%로 반영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내릴 확률을 100%로 보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