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관세 협상에 나서는 국가들을 상대로 중국과의 무역을 제한하도록 강제할 것이라는 전망에 중국 정부가 ‘대등한 반격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1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입장문에서 “자신의 단기적 이익을 위해 타인의 이익을 훼손함으로써 이른바 ‘면제’를 받는 것은 호랑이에게 가죽을 요구하는 것(與虎謀皮·무모한 일)이고,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은 각 당사국이 평등한 협상으로 그들과 미국의 경제·무역 이견을 해결하는 것을 존중한다”며 “중국은 각 당사국이 ‘상호관세’ 문제에서 마땅히 공평·정의의 편, 역사적 올바름의 편에 서고 국제 경제·무역 규칙과 다자무역체제를 수호해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대변인은 “중국은 어떤 국가가 중국의 이익을 희생한 대가로 (미국과의) 거래를 달성하는 것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만약 이런 상황이 나타나면 중국은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고, 대등하게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과 협상하는 국가들을 향해 중국이 사전 경고에 나선 것이다.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 중국에 불이익을 가하는 조치가 있을 경우 보복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70여개국과 관세 협상을 앞두고, 중국의 제조 역량을 제한하는 조치를 요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이 트럼프 관세를 우회할 방법을 무력화 시키려는 조치라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위급 고문들이 상대국 관세 협상 대표들에게 이른바 '2차 관세'(secondary tariffs) 문제를 꺼내 들 것이라고도 예상했다. 중국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특정 국가들에서 수입되는 상품들에 대해 금전적 제재를 가해 중국을 옥죄겠다는 의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