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이 위기다.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무에 조기 복귀했지만 좀처럼 반등 계기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성비위 파문 장기화로 ‘혁신’ 동력마저 못 얻는 모습이다. ‘자강’에 성공하기 위해선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반등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혁신당 지지율은 조 위원장의 8·15 특별사면 이후에도 5% 밑에서 머물고 있다. 한국갤럽의 9월 4째주 정례 여론조사에서 혁신당 지지율은 3%로 ‘원내 3석’ 개혁신당과 동률을 기록했다(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1.7%.).
조 위원장이 작년 총선 이후부터 공을 들여왔던 호남에서도 지지율이 3%에 머물렀다. 오차범위 이내지만 이 지역 기준 국민의힘(4%)보다 낮은 수치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불과 1년 전만 해도 상황은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12석 돌풍을 만들어낸 제22대 총선 이후 10%대 안팎의 지지율은 꾸준히 유지했다. 4월 재보선에선 첫 기초자치단체장(전남 담양군수)를 배출하기도 했다. 조 위원장 실형 확정으로 인한 부재 속에서 이뤄낸 성과였다.
그 사이 혁신당을 둘러싼 정세는 많이 달라졌다. ‘3년은 너무 길다’의 대상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불법계엄으로 정치권에서 사라졌다. ‘개혁’의 주도권도 정권교체에 성공한 더불어민주당이 가져갔다. 그러면서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 같은 정치개혁 메시지는 힘을 잃었다.
조 위원장 부재 중 벌어진 ‘성비위 파문’은 더욱 뼈아팠다. 조기 수습에 실패의 책임이 조 위원장에게로도 이어졌다. 그러다보니 ‘구원투수’로 재등판한 지 한 달이 돼가는 조 위원장의 메시지도 ‘성비위 수습’에 머물고 있다. 조 위원장의 추석 메시지도 ‘2차 가해 방지’에 집중됐다.
조 위원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내년 지방선거 전 민주당과의 합당은 없다”고 강조했다. ‘자강’으로 지선을 치르면서 재도약 계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혁신당은 전국 모든 선거구에 기초의원 후보를 내면서, 호남에선 민주당과 광역단체장을 두고 경쟁할 계획이다.
관건은 ‘성과’다. 혁신당이 전국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호남뿐만 아니라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기초단체장 배출에 성공해야 한다. 상황은 녹록치 않다. 혁신당은 지난 4월 재보선에서 서울 구로구청장 선거에 후보를 냈지만 득표율은 7%대에 그쳤다.
조 위원장 개인으로서도 이번 지선은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총선에 이어 지선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면 명실상부한 차기 주자로 거듭날 수 있다. 정치권에선 조 위원장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서라도 서울·부산 등 ‘큰 선거’에 도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 위원장은 추석 메시지를 통해 “윤석열 정권을 조기 종식한 쇄빙선 역할에 이어 극우세력과 불평등을 부수는 망치선 역할을 해야 한다”며 “(당원) 여러분께서 다시 자긍심을 갖도록 당을 완전히 새롭게 바꾸겠다. 혁신당의 뉴파티 비전을 준비해서 보고 드리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