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결핵 환자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중국인으로 나타나면서 입국 단계에서부터 검진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결핵 전체 환자 수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외국인 환자 비중만큼은 오히려 늘고 있어 방역의 허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질병관리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결핵 신규 환자 가운데 외국인 환자 비율은 2019년 5.3%에서 지난해 6.0%로 소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결핵 신규 환자는 3만 304명에서 1만 7944명으로 40.8%(1만 2360명) 급감했지만 외국인 환자는 1597명에서 1077명으로 32.6%(520명)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전체 환자 수는 크게 줄었지만 외국인 환자 감소폭은 상대적으로 작아 비중이 높아진 셈이다.
외국인 가운데서는 중국 국적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올해 1~8월 기준 외국인 결핵 환자 721명 중 307명이 중국인이었으며 이는 전체의 42.6%에 해당한다.
중국 국적 환자 수는 2019년 789명(49.4%)을 시작으로 △2020년 644명(48.9%) △2021년 584명(47.0%) △2022년 543명(50.7%) △2023년 512명(46.3%) △2024년 501명(46.5%)으로 줄곧 절반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그 뒤를 베트남(10.0%), 태국(7.2%), 인도네시아(6.1%), 네팔(5.0%) 등이 이었다.
성별 비율은 외국인 결핵 환자 중 남성이 약 60%로 내국인과 비슷했지만 연령대 분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외국인 환자 10명 중 약 4명(44.3%)이 20~30대 청년층인 반면, 내국인 환자의 절반 이상은 7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지역별 분포도 수도권에 집중됐다. 외국인 환자의 34.5%(372명)가 경기도에서 발생했고, 서울이 21.8%(235명), 인천이 6.6%(71명)로 수도권에서만 전체의 약 63%가 확인됐다.
김미애 의원은 "결핵 전체 발생은 줄고 있지만 외국인 환자 비중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 국적 환자가 절반을 차지하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입국 단계부터 결핵 검진을 강화하고 청년층과 수도권 중심의 맞춤형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결핵 환자는 1만 794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5만 491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13년간 연평균 7.6%씩 감소한 결과로, 최고치 대비 64.5% 줄어든 수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