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엔피씨와 EPS를 대체할 수 있는 ‘수산물 전용 다회용 B2B 패키징’을 공동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용기는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보냉 성능이 뛰어나 기존 일회용 스티로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을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소재로 제작해 사용 종료 후에도 다른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생기원 패키징기술센터 연구팀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설계 개선과 환경 평가를 수행했다.
용기 외부에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써서 내구성을 높였고 단열재로는 가볍고 보냉 효과가 좋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Expanded Polypropylene)을 사용했다.
연구팀은 폐플라스틱으로 재생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만들어 용기 외부에 적용 가능한 시제품을 제작하고, 압축강도·내충격성 등의 성능시험으로 내구성을 입증했다.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를 통해 탄소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개발 용기는 초기 생산 시 EPS 상자보다 탄소 배출량이 약 3배 높지만 4~5회 재사용 이후부터는 환경적 이득이 더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엔피씨는 공동 연구 개발 성과를 토대로 구조와 특성을 개량한 양산형 제품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생기원의 리빙랩 실증을 통해 제기된 수요기업의 의견을 반영해 포갤 수 있는 네스팅(Nesting) 구조로 보관·운송 효율을 높였다.
또한 용기 뚜껑과 손잡이를 개선, 사용 편의성을 강화하는 한편 무게도 소형 1㎏, 대형 1.5㎏로 유통 현장 사용 시 부담 없는 수준으로 경량화했다.
특히 용기를 회수해 세척·건조·살균 과정을 거쳐 재투입하는 렌탈 시스템을 마련한 결과, 용기 당 35회 이상 반복 사용 가능한 결과를 얻었다.
이번 성과는 이마트에브리데이가 ESG 경영의 일환으로 개발 용기를 수산물 유통 과정에 실용화했다. 현재 약 3만3000개 용기를 수산물 유통 과정에 투입해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고 있으며 향후 활용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마트에브리데이가 수산물 유통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EPS를 개발 용기로 전량 대체할 경우 3000톤 이상의 EPS 폐기물을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기원 패키징기술센터 심진기 센터장은 “국내 수산물 유통 현장에 스티로폼을 대체해 친환경 다회용 용기를 도입한 첫 사례”라며 “향후 수산 부산물의 부위별 품질관리와 패키징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엔피씨 홍성원 연구소장은 “수산물 분야에도 스티로폼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가 도입된 만큼 보급·확산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는 규격을 다변화하고 적용 분야를 넓혀 확산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