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내항 선원 10명 중 6명이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내 이들의 대규모 은퇴가 불가피해 수조 원대 물류비 상승과 전시 동원 능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조승환(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해양수산부·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내항 선원(7603명) 중 60세 이상은 59.7%(4536명)에 달했다. 2014년 46.7%에서 10년 만에 1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39세 이하 선원은 16.2%에 그쳤다. 해양대와 해사고 등 지정 교육기관에서 양성되는 해기사 중 내항 상선으로 진출하는 비율이 9%로 낮은 때문이다.
60세 이상 내항 선원들이 대거 은퇴하는 10년 후에는 해상운송 공백에 따라 물류비가 상승할 것이라는 게 조 의원의 분석이다. 내항 해운 수송량의 10%만 도로 운송으로 대체해도 국가 물류비가 연간 약 3조 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의 국내 화물 단위 수송비가 1이라면 △철도 1.8 △항공 3.9 △도로 24.5 등이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인 선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며 전시 내항 동원 선박 확보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외국인 선원들이 동원 명령에 불응하면 군수물자 및 필수 물자 수송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내항 선원 고령화는 외항 선원 대비 낮은 처우 문제와 연결돼 있다. 내항 선원의 평균 월급은 약 450만 원으로 외항 상선(약 814만 원)의 약 55%에 그친다. 내항 선원은 장기 승선 근무로 가족과 장기간 분리되는 열악한 근무 여건을 감수하고 있지만 비과세 한도가 월 20만 원에 불과해 외항 선원(월 500만 원) 대비 25분의 1 수준이다.
조 의원은 “이대로라면 도서 지역 생활 물류는 물론 석유·시멘트 등 국가 주요 산업 공급망이 마비될 수 있는 데다 전시 동원 능력 확보도 어렵다”며 “단순한 산업 문제가 아니라 국가 안보 문제이므로 정부는 하루빨리 내항 선원에 대한 세제 지원과 처우 개선, 청년 인력 유입 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신임 원장에 조 의원이 발탁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