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로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수장에 도전한 배동현 BDH 재단 이사장 겸 창성그룹 총괄부회장이 아쉽게 낙선했다.
배 후보는 27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5 서울 IPC 정기총회 위원장 선거에서 유효 투표수 177표 중 68표를 얻어 앤드루 파슨스(109표·브라질) 현 위원장에게 밀렸다.
배 후보의 낙선으로 한국의 IOC 위원은 1명을 유지하게 됐다. IPC 위원장은 IOC 당연직 위원으로 올림픽과 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 개최지를 선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한국의 현직 IOC 위원은 올해 1월 이기흥 전 대한체육회장이 3선에 실패해 IOC 위원 자격을 상실하면서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회장 한 명뿐이다.
IPC는 1989년 9월에 설립된 단체로 패럴림픽을 주관한다. IOC와 함께 전 세계 스포츠를 이끄는 핵심 단체로 꼽힌다. 로버트 스테드워드(캐나다)가 제1대 IPC 위원장을 맡았고 필립 크레이븐(영국)에 이어 파슨스 위원장이 2017년 9월 선거에서 당선된 뒤 현재까지 IPC를 이끌었다. 파슨스 위원장은 3선에 성공해 향후 4년 간 IPC 수장으로 활동한다.
2012년 장애인스포츠와 처음 인연을 맺은 배 후보는 국내외 장애인 스포츠 발전을 위해 많은 힘을 쏟았다. 대한장애인바이애슬론연맹(현 대한장애인노르딕스키연맹으로 확대 개편)을 설립하고 2015년 장애인 노르딕스키 실업팀을 창단한 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과 2024 파리 패럴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장을 역임하며 선수들이 안정적으로 훈련하고 성장할 기반을 마련했다. 2023년에는 BDH재단을 설립해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5개 대륙에 훈련 장비, 대회 개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달 2025 아시아패럴림픽위원회 시상식에서 아시아 훈장을 받았다.
배 후보의 선거 활동을 도운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장은 선거 후 "오래 전부터 최선을 다해 홍보하고 도전했으나 다소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며 "현 파슨스 회장의 벽을 넘기가 힘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국내외 장애인 체육 발전을 위해 더 열심히 뛰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선거는 총 211개의 IPC 회원기구(185개 국가패럴림픽위원회·18개 국제경기연맹·3개 유형별 국제기구·5개 IPC 스포츠) 중 177개 회원 기구가 참여했다. 북한은 참석하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