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열풍이 과거 일본의 가해 역사를 전 세계 네티즌에게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최근 한 해외 틱톡커는 "'케데헌'의 '더피'를 보고 한국의 호랑이 역사를 찾다가 지난 세기에 일본이 한국의 모든 호랑이를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내용의 영상을 올렸다. 해당 영상은 좋아요 18만 개와 조회수 120만 회를 기록하고 있으며, 댓글은 2000여 개가 달리며 일본의 과거사가 소환됐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일본은 1917년부터 호랑이를 '해수(害獸)'로 규정해 조직적 토벌을 실시했다. 이는 생태계 파괴를 넘어 조선 문화의 상징성까지 말살하려던 의도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OTT 플랫폼을 통한 일본 가해 역사 확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애플TV '파친코'는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를, 넷플릭스 '경성크리처'는 731부대 생체실험을 다뤄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했다.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이 역사교육 효과까지 창출하고 있다. 서 교수는 "한국 콘텐츠 확산으로 전 세계 시청자들이 일제강점기 실상을 인식하게 됐다"며 "다양한 K콘텐츠를 통해 아시아 역사가 올바르게 전파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