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율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에도 올해 4분기 수출기업 체감경기가 반도체·무선통신기기·선박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5일 발표한 ‘2025년 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올 4분기 EBSI는 101.4로 1년 만에 기준선(100)을 웃돌며 수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15대 품목 중 6개 품목의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반도체(145.8)는 메모리 단가 회복과 견조한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수요에 힘입어 2분기 연속 수출에 대한 전망이 가장 밝았다. 선박(110.3)의 경우 신조 발주 감소와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지연 등 시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한미 조선 협력을 위한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으로 대미 조선·기자재 신규 진출 기대감이 커지면서 4분기 연속 수출 경기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중국과의 경합이 심화된 플라스틱·고무·가죽제품(62.4)과 미국의 관세 인하 시점이 불확실한 자동차·자동차부품(69.3)은 역성장에 대한 우려가 가장 컸다.
4분기 주요 수출 애로 요인으로는 ‘원재료 가격 상승(15.7%·복수 응답)’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14.2%)’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12.8%)’ ‘수출 대상국의 수입규제(12.5%)’ 등이 뒤를 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