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이 국방·산업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부품의 9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관련 산업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같은 문제의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22일 국회에서 ‘K-드론 이니셔티브 추진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는 황정아 의원실이 주최하고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학회, 한국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드론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토론회에서는 ‘K-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드론연구개발촉진법 제정 필요성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드론 기술개발, 국산 드론 공급망 자립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드론은 농업, 측량, 재난대응, 국방 등 민수·공공 분야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 기체의 70%, 부품의 90% 이상은 해외에서 수입해 사용하는 실정이다.
드론 산업 자립을 위해 관련 분야 육성·지원이 필수적이지만, 현행 드론활용촉진법은 운용·실중 중심의 제도로 이뤄져 있어 핵심기술 개발·부품 소재 국산화 등 연구개발 단계를 충분히 지원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드론의 원천연구에서 상용화까지 전 단계를 포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고 국가 차원의 체계적 지원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날 토론회 1부에서는 황 의원과 존 리 우주항공청 임무본부장, 유창경 한국항공우주학회장, 박석종 드론산업협회장이 환영사와 인사말로 행사 취지와 산업 육성 당위성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 2부 주제발표에서는 우주항공청이 추진하는 ‘K-드론 기체 공급망 이니셔티브’ 관련 지원 방안이 집중적으로 소개된다. 이어지는 발표에서는 드론연구개발촉진법 제정안, 연구개발 단계 지원을 위한 법적 토대 마련 방안 등이 논의된다.
3부 패널 토론에서는 유창경 학회장을 좌장으로 이병석 순천향대 교수, 윤관섭 LIG넥스원 사업부장, 이종경 한국드론기업연합회 회장, 이보형 초대 드론작전사령관 등이 패널 토의를 한다.
황 의원은 “K-드론 이니셔티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이 드론 5대 강국으로 도약해 안보뿐만 아니라 민생, 국민 안전을 더욱 든든히 지켜낼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