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0일 서울 한강버스 중단에 대해 “사업의 시작과 끝 그리고 향후 행·재정적 낭비에 대해 전면 감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달 19일 출항한 한강버스가 취항식(17일)에 이어 오늘도 집중호우와 팔당댐 방류 증가로 중단됐다”며 “서울시는 기상 상황에 따라 연 최대 20일 가량 중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예측 불허의 변수가 여전히 많아 출퇴근용 논란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출퇴근용 한강버스에 대한 효율성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라며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한강버스가 출퇴근용으로 부적합하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백 원내대변인은 “한강버스는 각종 비리 의혹까지 제기된 감사대상 사업”이라며 “부실업체 선정으로 사업이 지연된 특혜 행정이고 비싼 가격으로 수십억 원의 세금 낭비 의혹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그는 “오 시장도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감사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전면 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백 원내대변인은 “서울시는 이제라도 잘못된 정책방향과 불통행정·탁상행정을 인정하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시민의 눈높이에 맞춰 정책방향을 개선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10분 한강홍수통제소가 팔당댐 방류량을 초당 3300톤으로 승인함에 따라 오전 11시부터 한강버스 운항을 임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2025 풍수해 대비 재난안전대책 행동안내서’ 단계별 대응 기준에 따르면 팔당댐 방류량이 초당 3000톤 이상일 경우 한강 내 모든 선박(동력 및 무동력)의 운항이 통제된다. 아울러 잠수교 수위 증가 등으로 한강버스 교량 통과 한계높이(기준)인 7.3m보다 낮아짐에 따라 시민 안전을 위해 부득이하게 운항 일정을 조정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