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1만 2000개까지 늘리고, 전국 최초로 장애인 암 조기검진을 지원한다. 맞춤형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주거와 돌봄 서비스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장애인 38만 5000명이 ‘보통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2025년부터 2030년까지 5년 간 2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이러한 계획을 담은 ‘2530 장애인 일상 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오 시장은 “장애인 시민이 ‘나도 세금 내는 당연한 일상을 살고 싶다’고 했던 말을 잊을 수가 없다”며 “장애인들이 ‘아주 보통의 하루’를 누릴 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획은 △든든한 일자리와 소득 △편안한 주거와 돌봄 △자유로운 이동권과 접근권 △존중받는 인권과 여가 등 4대 분야, 12개 핵심 과제를 담았다. 이를 위해 2조 원을 투입한다.
먼저 서울시는 장애인들의 든든한 일자리와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해 경제적 자립을 돕는다. 현재 연간 5000개 수준인 공공일자리를 2030년 1만 2000개까지 늘릴 예정이다.
특히 기존에 장애인들이 하던 단순 업무가 아닌 직업 훈련을 통해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시각장애인들은 청각이 뛰어난 음향엔지니어나 오디오콘텐츠 제작에 탁월한 재능을 보이는 등 자신들만의 강점이 다르다”며 “‘일반 사무 보조형’을 비롯해 요양보호사 보조·어르신 안마서비스 등 ‘사회서비스형’, 바리스타·사서 등 ‘취업연계형’ 등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형 개인 예산제' 대상도 현재 100명에서 2030년까지 누적 2600명으로 늘리고, 예산도 1인당 4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높인다. 서울형 개인 예산제는 대상자가 직접 필요한 분야를 골라 지원금을 쓸 수 있게 지원하는 정책을 뜻한다.
주거 혜택도 제공한다. 최대 20년 간 거주 가능한 장애인 지원주택을 현재 336가구에서 2030년 500가구로 확대하고,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가정을 방문해 신체·가사 활동, 이동 보조를 돕는 서비스 대상을 3만 명까지 넓힐 계획이다.
중증 장애인의 낮은 건강검진 수검률을 반영해 전국 최초로 ‘서울형 장애인 암(위암·대장암) 조기 검진’도 지원한다. 위암은 30~39세, 대장암은 40~49세에 검진이 가능하다. 아울러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저상버스 도입이 가능한 모든 노선에 대해 마을버스는 2030년까지, 시내버스는 2032년까지 100% 저상버스로 전환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장애인은 복지의 수혜자가 아니라 사회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약자동행 철학의 근간”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