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4일(현지 시간) 확정한 일본과의 무역협정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6일부터 27.5%에서 15%로 내리기로 했다. 아직 미국과 무역 협상을 마치지 못한 한국 입장에서 한 동안 자동차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15일 미국 연방 관보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관세를 15%로 16일부터 인하하기로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일본의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내리면서 자동차 품목 관세율도 15%로 인하하는 내용의 ‘미일 무역 합의 이행’ 행정명령 문서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부터 외국산 수입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 관세를 부과하게끔 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대한 관세를 25%로 인상했다. 이에 일본은 기존 2.5%의 관세까지 총 27.5%의 관세를 물고 있다. 일본은 지난 7월 22일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67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약속하는 조건으로 상호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데 합의하고도 자동차 관세에 대한 미일 간 이견으로 한 동안 진통을 겪었다.
일본의 대미(對美) 수출 자동차의 관세가 낮아지게 되면서 미국 내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005380) 등 한국 기업의 입지는 당분간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제품으로 현재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