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공개된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소유권 매매 이전등기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날까지 등기가 완료된 1~8월 전국 집합건물 65만 9728건 가운데 생애최초 매수 건은 28만 4698건으로 43.2%에 달했다. 집합건물 매수 10건 중 4.3건 이상을 생애 처음 주택 구입자가 사들인 것이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의 42.5%를 넘어선 것이다. 또 대법원에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0년 이후 1~8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비중이다.
연간 통계와 비교해도 생애최초 거래 비중은 직전 최고치인 2013년의 43.1%를 뛰어넘어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생애최초 거래 비중이 커진 것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이나 신혼부부·신생아 대출 등 저리의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이 많고, 1주택 이상 유주택자들과 달리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제한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관리 명목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주택자에 대해 주담대를 금지하고 있지만, 생애 처음 주택 구입에 나서는 무주택자들은 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금리 인상, 전세사기 등으로 연립·다세대나 오피스텔 등의 투자수요가 감소한 것도 상대적으로 생애최초 구입자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1~8월 서울의 생애최초 매수 비중은 약 38% 선으로 2014년 동기간의 38.8%(연간은 39.1%)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거래 건수로는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이 기간 생애최초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 건수(28만 4698건)는 집값 상승세가 최고조에 달했던 2021년(36만 1750건) 이후 가장 많다. 전국의 등기 건수(65만 9728건)도 2021년(104만 459건) 이후 가장 많다. 부동산R114 윤지해 리서치랩장은 “금융당국의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리의 정책자금 대출에서 유리한 생애최초 구입자들의 매수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향후 보유세 등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생초자와의 구입 비중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