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된 한국인들의 석방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들이 수갑을 풀고 미국에서 출국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우리 측 요청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한국이 원하는 대로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고 우리 외교부가 10일(현지 시간) 밝혔다. 다만 미 국무부의 결과 자료에는 이에 대한 언급은 빠져 차이를 보였다.
외교부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이날 워싱턴DC에서 한미 외교장관회담을 열었다며 이 같이 전했다. 이에 따르면 조 장관은 “(구금된 한국인이) 범죄자가 아닌 만큼 수갑 등에 의한 신체적 속박 없이 신속하게 미국을 출국할 수 있게 하고 향후 미국 재방문에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게 미 행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또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논의를 위한 한미 외교-국무부 워킹그룹을 신설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이재명 대통령과 도출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고, 이 사안에 대한 한국민의 민감성을 이해하며 특히 미 경제·제조업 부흥을 위한 한국의 투자와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원하는 바대로 가능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속히 협의하고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며 “빠른 후속조치를 위해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날 조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제조업 부흥 노력에 기여하고자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해 미국에 온 우리 근로자들이 연행되는 과정이 공개돼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같이 큰 상처와 충격을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미 국무부 측 결과 자료에는 한국인 수감자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미 국무부는 토미 피곳 수석부대변인 명의 자료에서 "양측은 70년 이상 한반도와 인태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 축이었던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견고함을 강조했다"며 "루비오 장관은 한국의 대미 투자를 환영하며 이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 장관이 인태 지역에서의 억지력 강화, 공평한 방위비 분담 확대, 조선 및 기타 전략 분야에 대한 한국의 투자를 통한 미국 제조업 활성화, 공정하고 호혜적인 무역 파트너십 증진을 목표로 하는 미래지향적 의제를 통해 한미 동맹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적었다. 아울러 "양측은 북한의 불법적인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야기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공동의 의지를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에 구금된 한국인 문제나 비자는 빠진 채 미국이 중요시하는 인태 지역의 억지력 강화, 공평한 방위비 분담 등만 언급된 것이다. 아울러 공정하고 호혜적인 무역 파트너십, 한국의 투자를 통한 미국의 제조업 활성화 등 일종의 미국의 '청구서'만 강조가 됐다.
우리 외교부는 이날 양 측이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한 고위급 외교일정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지난 8월 정상회담의 성과 문서를 빠른 시일 내 발표하고 관련 후속조치들이 적극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자”고 말했고 루비오 장관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가능한 방안을 모색해보겠다고 답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중 결과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조 장관은 우리 대통령이 언급한 페이스 메이커로서의 역할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하고, 이를 위한 협력을 모색해나가자고 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대북대화에 열려있다”며 “이를 위해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외교부는 “이날 한미 외교장관 면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현장에서 미측과 행정적 실무협의를 적극 전개하고 있다”며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해 국민들이 가장 빠른 시일내 구금에서 해제되고 귀국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