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한국 국민들이 범죄자처럼 취급받는 영상과 사진을 봤을 때 기업들은 미국에 대해 새로운 차원의 예측 불가능성을 맞닥뜨리게 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미 전문가로부터 나왔다.
미국 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부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사진) 올브라이트스톤브리지 선임고문은 8일(현지 시간) 서울경제신문과의 e메일 인터뷰에서 “미국 이민 당국의 한국인 구금 사태는 기업들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을 야기한다”며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외국 기업들은 이제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인지를 되묻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 이민 당국은 한국인 근로자들에 수갑을 채우고 연행하는 영상과 사진까지 홈페이지에 공개해 충격을 안겼다.
오버비 선임고문은 “이번 사태는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 유치와 이민 문제 및 노동자들의 합법적 체류 보장이라는 미 행정부 정책의 충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미 투자 확대를 요구하면서도 불법 이민자 및 미국인 일자리 감소를 우려해 폐쇄적인 비자 정책을 펴면서 두 정책이 충돌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일부 한국인들은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지원하는 한국인 근로자의 비자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강압적인 접근이라고 비판하고 있으며 다수의 한국인들은 대미 투자 확대가 한국 내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짚었다.
오버비 선임고문은 “한국 기업들은 현재 미국 내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있다면 본사뿐만 아니라 하청 업체의 이민법 준수 여부를 점검하면서 프로젝트를 중단하게 될 수도 있다”며 “이로 인해 이들 기업의 신인도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미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들은 미국 내 (숙련) 노동력 부족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재고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인들이 미국 내에서 받은 대우를 고려할 때 한국 기업들이 직원들을 미국으로 파견하는 데 애를 먹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미국 내 숙련공 부족으로 미국 내 사업 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일을 하려는 내국인 직원을 찾기도 어려워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