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차 베이징을 찾으면서 전용 화장실까지 동행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2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일 정보기관 등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이 방중 길에 탄 열차에는 전용 화장실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며 “김정은의 배설물을 통해 건강 정보가 외부에 흘러나갈 가능성을 걱정하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또 “북한 내에서 군 관련 시설이나 국영공장 등을 시찰할 때도 김정은의 전용 화장실이 차량 내 구비되고 개인 욕실도 설치된다”고 전했다.
김정은이 해외 방문 시 전용 화장실을 챙긴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8년 4월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의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북한 측은 별도의 전용 화장실을 운반해 설치했고, 김 위원장은 이를 이용했다.
같은 해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전용 화장실을 항공편으로 실어 나른 사실이 알려졌다.
북측은 배설물뿐 아니라 담배꽁초, 성냥 등 사소한 흔적까지 외부로 흘러나갈까 예민하게 대응해왔다.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이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역에서 흡연했을 때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직접 재떨이를 들고 꽁초를 수거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후 사용한 성냥까지 성냥갑에 다시 넣는 장면도 목격됐다.
이 때문에 수행원들은 김 위원장이 이동할 때마다 모발을 손으로 수거하고, 좌석 등받이나 팔걸이 등을 천으로 여러 차례 닦아내는 등 모든 흔적을 제거하는 데 주력했다. 공동선언문 서명 때도 외부 펜이 아닌 북한이 준비한 필기구를 쓰도록 해 지문 채취 가능성을 차단했다는 후문이다.
북한 문제에 정통한 한국 정보기관 관계자는 닛케이에 “최고지도자의 건강정보는 북한 체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며 “모발과 배설물 등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 북한은 최고지도자의 생체정보 보안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