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지지층이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우군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지지자들이 ‘엡스타인 논란’에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앱스타인에게 시간과 에너지를 허비하지 말자”고 진화했지만 마가 내부에서 엡스타인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목소리가 들끓고 있는 것이다. 보수 진영에서는 이 사안이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정치 행보까지 뒤흔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에 대해 “음모론으로 공고해진 마가 지지층이 이번엔 또 다른 음모론으로 볼 수 있는 엡스타인 이슈에 분열되고 있다”고 평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14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급속도로 확산하는 마가 지지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며 "트럼프의 일부 측근조차 이번 사태는 시간이 갈수록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엡스타인 파일'은 미성년자 성 착취 혐의로 체포된 뒤 2019년 교도소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한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의 성 추문 사건과 관련돼 있다. 이후 엡스타인에게 정관계 유력 인사들이 포함된 성 접대 리스트가 있다거나 사인이 자살이 아닌 타살이라는 등의 음모론이 끊임없이 나왔다.
최근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은 엡스타인이 유력 인사들을 협박하거나 블랙리스트가 있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그의 사망 원인도 자살이라고 재확인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2일 트루스소셜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엡스타인에게 허비하지 말자"고 지지층에 당부했다. 그러면서 "우리 마가는 한 팀"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마가 진영을 대표하는 핵심 인사들까지 나서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날을 세우고 있다. 보수 성향의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는 "트루스소셜에 글 하나 올린다고 이 문제가 사라지지 않는다"며 "스트라이샌드 효과(감추려 할수록 논란이 더 커지는 것)가 생기면서 트럼프가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기 전보다 훨씬 더 사람들이 이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고 폴리티코에 말했다. 루머는 이어 "트럼프 행정부에 타격을 주지 않도록 백악관이 지지층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엡스타인 사건을 조사할 특별검사 임명을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며느리이자 지난 대선 캠페인에서 핵심 역할을 한 라라 트럼프 역시 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백악관이 엡스타인 사건을 다루는 데 있어서 더욱 투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지지자이자 팟캐스트 '워룸' 기자인 내털리 윈터스는 "사람들은 그것(엡스타인 사건)이 대놓고 묵살당한 것에 정말 분노하고 있다"며 "(트럼프 지지층이) 이렇게 오래 동요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뉴욕타임스(NYT)에 말했다.
정부 기관 내부에서조차도 엡스타인 사건 처리를 놓고 갈등이 표출되고 있다. 극우 팟캐스터 출신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댄 본지노 FBI 부국장은 법무부의 엡스타인 사건 처리 방식에 반발하며 본디 장관과 충돌한 것으로 전해졌다. 본지노 부국장은 음모론에 선을 그은 캐시 파텔 FBI 국장과도 갈등을 빚었다.
민주당은 트럼프 진영의 이 같은 균열 조짐을 파고드는 모습이다.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마크 비시(민주·텍사스) 하원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에 엡스타인 관련 문서를 공개하라는 내용의 결의안을 제출할 계획이다.로 칸나(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엡스타인의 수사·기소·수감 관련 모든 기록과 증거물을 보존하고 취합한 뒤 웹사이트에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