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외무장관을 접견하고 양측의 끈끈한 밀착을 과시했다.
13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12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접견하고 "북러는 동맹관계수준에 부합되게 모든 전략적문제들에 대해 견해를 함께 하고 있다"며 "두 나라 사이에 구축된 높은 전략적 수준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접견에 앞서 진행된 최선희 외무상과 라브로프 외무장관 간 '2차 전략대화' 결과를 보고받은 뒤 "두 나라의 조화된 외교적 입장이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보장에 긍정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의 근원적 해결과 관련해 러시아 지도부가 취하는 모든 조치들을 무조건적으로 지지성원할 용의"를 재확인하면서 "러시아연방의 융성번영을 위한 성업수행에서 반드시 승리하리라는 확신"을 표명하기도 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김 위원장에게 국제무대에서 북러 간 "전략전술적 협동과 공동보조를 보다 강화할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매체들은 향후 북러 정상회담 개최 여부와 관련해 보도하지 않았다. 반면 러시아 매체들은 라브로프 장관이 김 위원장에게 "아주 가까운 미래에 직접 소통을 이어가기를 기다린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방북 당시 김 위원장을 모스크바로 초청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라브로프 장관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관련 조율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북한은 최선희 외무상과 라브로프 장관 간 진행된 '제2차 전략대화에 관한 공보문'도 공개했다. 공보문은 전략대화에서 "두 나라 사이의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의 정신과 제반 조항들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써 오랜 역사적 뿌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북러관계를 백년대계의 전략적 관계로 이어나가려는 확고부동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를 부정하려는 임의의 시도에 대해서도 단호히 반대하며 국가의 안전과 주권적 권리를 수호하려는 조선 측의 정당한 노력에 대한 확고부동한 지지를 표명"했다고 했다.
관련기사
북한 측은 "우크라이나분쟁의 근원을 제거하고 국가의 자주권과 안전이익, 영토 완정을 수호해나가기 위한 러시아정부의 모든 조치들에 대한 전적인 공감과 지지"를 표시했다.
양국은 "복잡다단한 현 국제정세에 대한 쌍방의 평가가 일치한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적대세력들의 패권지향적인 침략책동에 보다 각성을 높이고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면서 공동의 입장을 조율해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양측 외무부 간 "상급전략대화를 비롯하여 두 나라 대외정책기관들사이의 의견교환을 여러급에서 계속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2026년∼2027년 교류계획서도 체결됐다.
라브로프 장관의 방북을 환영하는 연회는 이달 초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명사십리호텔에서 열렸다. 라브로프 장관을 원산으로 초청해 러시아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