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채 상병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순직해병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이 수사 무마의 방아쇠가 된 ‘VIP격노설’ 수사와 관련해 전방위적인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날 순직해병특검은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의 자택과 국가안보실, 국방부 대변인실 등 국방부 주요 부서 등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순직해병특검 출범 후 이뤄진 첫 강제수사다.
순직해병특검은 채 상병 사망 사건을 수사하던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에 대한 대통령실 지시 내용 등과 관련한 회의 참석자 및 회의록 등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대통령실 회의를 주관한 국가안보실 등이 강제수사 대상이 된 이유다.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 등도 포함됐다.
특검팀은 채 상병 사망에 대한 수사에 윤 전 대통령이 개입했는 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경찰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이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은 김 전 사령관이 같은 날 오후 5시께 자신을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전해줬다고 밝혔지만, 김 전 사령관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공개된 통화기록을 보면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7분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했고, 당일 오후 5시에는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약 3분간 통화했다.
앞서 특검팀은 대통령실로부터 수사외압 의혹의 발단이 된 VIP 격노설을 전달받은 것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7일 불러 12시간 동안 조사했다.
특검팀은 오는 11일 당시 대통령실 회의에 참석한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