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패배 후 지지부진한 당 쇄신으로 지지율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국민의힘이 9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신임 혁신위원장에 임명하며 좌초됐던 혁신위원회를 곧장 재가동시켰다. 또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임하며 본격적인 ‘전대 모드’에 돌입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비공개 비대위원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에서 윤 신임 혁신위원장 인선을 발표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실패한 과거와 결별하고 수도권 민심 속으로 다가가는 정책 전문 정당으로 거듭나는 혁신 조타수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혁신위원장에 대해 “처음부터 유력한 후보 중 하나였다”며 “중도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통인 윤 혁신위원장이 혁신 업무를 잘 이끌어주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안철수 의원이 이른바 ‘쌍권(권영세·권성동)’에 대한 거취 문제로 지도부와 갈등을 빚다 혁신위원장에서 사퇴한 지 이틀 만에 ‘윤희숙 혁신위’가 새로 출범했다. 안 의원과 함께 물러난 송경택 혁신위원 자리에는 배지환 수원시의원이 새로 임명됐다. 윤 혁신위원장은 앞서 ‘안철수 혁신위’가 인적 쇄신 문제로 출범과 동시에 좌초한 것을 고려한 듯 당원 의사를 중심으로 “당을 다시 닫고 여는 정도의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혁신위원장은 의원총회에 참석해 “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원칙은 혁신의 주체는 우리 당원이라는 점”이라며 “이번 혁신위는 우리 당원이 혁신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혁신의 주체가 우리 당원이어야 혁신의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며 사실상 재창당 수준의 혁신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두 차례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윤 혁신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서도 “혁신의 대상과 범위를 정하는 것은 당원”이라며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도부로부터 인적 쇄신 등의 전권을 위임 받았느냐’는 질문에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제안했을 때 지도부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우리 당은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지도부가 다같이 망할 작정이 아니라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안철수 혁신위 붕괴로 개혁 동력이 상실되자 당 안팎에서는 8월 전대에서 새 지도부가 선출될 때까지 혁신위 논의가 일시 중단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하지만 당 지지율 하락으로 소수 야당의 마지막 버팀목인 여론전마저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지도부가 혁신위 재가동에 힘을 실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당내 대표적인 경제·정책 전문가인 윤 혁신위원장에게 당 쇄신 작업을 이끌게 하면서 계파 간 이해관계에 따른 내홍을 차단하는 포석을 깔았다는 해석도 있다.
국민의힘은 또 전대 선관위원장에 황 전 비대위원장을 임명했다. 8월 중하순이 유력한 전대 시기와 장소는 조만간 결정할 방침이다.
황 선관위원장은 집단지도체제 전환과 전대 룰 등을 집중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황 선관위원장은 계파 갈등이 지속되는 현 상황에서는 기존 단일지도 체제보다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당 대표 선거 차순위 득표자들을 탈락시키지 않고 최고위원으로 선출하는 집단지도체제가 국민의힘의 약점으로 지적받는 잠룡 ‘인물난’을 해소시킬 것이라는 기대도 걸고 있다.
하지만 당권 출사표를 던진 안 의원이 즉각 반발하는 등 새 지도부 선출 방법을 둘러싼 기싸움이 일찌감치 벌어지는 모습이다.
안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집단지도체제와 관련해 “여당이라든지 평화 시에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같이 경쟁하던 사람들 가운데 이긴 한 사람은 대표가 되고 그 다음이 최고위원이 되면 내부 분란이 굉장히 많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심지어 더 심하면 정말 콩가루 집안처럼 돼서 아무것도 협의가 안 된다. 개혁이 안 된다”며 단일 지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1973년생 이하 친한(친한동훈계) 모임 ‘언더73’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론은 의원총회 의결이 아닌 당 지도부가 붙이는 전 당원 투표로 결정해야 한다”며 이번 전대에서 당헌을 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